T*Omnia/Utility2009. 11. 18. 22:14

기능 : 런처, 작업전환기, 작업관리자 등등...

무료 프로그램으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한글이 지원하는 점이 매력적입니다.


가급적 '장치'에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기본적으로 윈도우모바일의 우상단 X 버튼은 프로그램 종료 기능보다는 최소화하는 것에 중점이 맞춰져있으며 실제로 프로그램을 종료하기 위해서는 해당 프로그램 내의 메뉴에서 끝내기 메뉴를 선택하는 것이 기본적인 이용방법입니다.

특히 옴니아의 경우엔 과거 이루어졌던 펌업으로 X 버튼을 이용해서 프로그램을 최소화/종료를 선택할 수 있게 되었으나 종료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실제로는 백그라운드에서 작동되는 버그(?)가 있습니다. 그래서 실제로 프로그램을 종료하기 위해서는 작업전환기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종료해야하는 경우가 왕왕 있습니다.

저도 그런 불편함을 피하고자 옴니아 구입 초기부터 WkTask를 사용해 왔으나 최근 다른 프로그램과의 충돌로 잠시 사용을 안했더니 너무 불편해서 다시 설치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처음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다음과 같은 아이콘이 프로그램에 등록되며 X 버튼 모양이 바뀌게 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의 그림에서 붉은 네모 안에 아이콘이 설치되면서 추가된 것입니다.
우상단의 X 버튼은 실행중인 프로그램이 있는 경우에만 표시되며 오늘 화면에서는 표시되지 않습니다.
WkTask : WkTask 전반에 관한 설정을 제어합니다.
WkTask Launcher : WkTask내에서 런처에 프로그램을 등록한 경우 실행할 수 있으며 숫자키 등에 매핑을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 화면 또는 각 프로그램 실행중 우상단의 X 버튼을 길게 누르면 WkTask 메뉴가 보여지게 되며 여기에서 세부 설정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WkTask는 윈도우상에서 여러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Alt+Tab 기능을 이용해서 프로그램간 이동을 하는 것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윈도우모바일 시작버튼 우측으로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의 아이콘이 보여지며 각 프로그램간 이동이 자유롭습니다.
(옴니아에서는 작업전환기기 이와 같은 기능을 합니다.)

그리고 항시 백그라운드로 돌아가게 되는 SKT 관련 프로그램 등과 같이 늘 상주되는 프로그램은 '항상숨기기' 메뉴를 통해서 더이상 시작표시줄에 나타나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본적인 설정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좌측여백과 우측여백의 숫자값은 시작표시줄에 표시되는 아이콘이 많으면 아이콘이 다 보여지지 않게 되는데 이럴때 이 값을 조절해서 숨겨져 안보이는 아이콘을 볼 수 있게 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화면의 가로/세로 전환, 시작표시줄위에 배터리게이지 표시 등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옴니아의 경우 화면전환 기능을 사용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X/OK 버튼을 길게 누르거나 누른채로 드래그하는 방향에 따른 기능 설정을 하는 부분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X/OK 버튼에 자신이 만든 스킨을 적용하거나 WkTask Launcher 사용시의 메모리 사용량 줄이기 기능을 토글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러 프로그램을 실행시에 시작표시줄에서 보여지는 형태(아이콘/아이콘+프로그램명/프로그램명)를 선택할 수 있고, 시작표시줄의 배경색상/글자색상/입체화 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런처설정에서는 앞서 나왔던 WkTask Launcher에 원하는 프로그램을 등록/수정/삭제 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능설정에서는 런처설정에서 등록된 프로그램에 대한 X버튼 설정(숨김/최소화) 및 기타 다른 프로그램의 X버튼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백라이트(조명) 설정부분인데 옴니아 내부설정과 WkTask 프로그램 설정의 어느 부분이 우선 순위로 설정되는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추후 파악해서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WM(윈도우모바일) 시작시 WkTask가 자동으로 시작되게 설정하는 부분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언어 설정 및 업데이트 버전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기본적으로 처음 설치시에 영어로 표시되니 이 부분에서 'Korean'으로 변경해야 메뉴가 한글로 표시됩니다.

보다 보기좋고 상세한 리뷰는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cafe.naver.com/bjphone/166972


# 문제점(혹은 프로그램간 충돌)

1. 옴니아에서 터치플레이어 실행시 가끔 라이브러리 로딩중 다운되는 현상
: Touch Player \TP.edb 파일을 지우면 정상적으로 작동하나 재발생 빈도가 높음편임

=> WkTask > 환경설정 > 기능설정에서 Tp.edb 파일을 숨김으로 설정한 후 현재까지는 문제없음.

Posted by TeamJoon